코테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백준] 1065번 : 한수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65 1065번: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,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.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. N이 주어졌을 때, 1보다 크거나 같고, N보다 작거나 www.acmicpc.net 언어는 파이썬을 사용했습니다. def hansu(n:int) -> int: if n >= 100: h_num = 99 else: h_num = n return h_num for i in range(100,n+1): s = str(i) l = len(s) if l == 3 and (int(s[2]) - int(s[1]) == int(s[1]) - int(s[0])): h_num += 1 elif l =.. [Python] 재귀함수 : 피보나치 수, 팩토리얼 백준 피보나치 문제를 해결하던 중 답은 맞게 나오는데 도저히 넘어가질 않아서 원인을 찾던 중 재귀함수의 형태로 코딩을 해야한다는 것을 알았다. (for문이 좋은데..) 재귀함수란?? 자기 자신을 재참조 하는 함수로 정의 단계에서 자기 자신을 사용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. 팩토리얼을 예시로 설명하면 for문을 사용했을 때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 def factorial(): answer = 1 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N+1): answer *= i return print(answer) factorial() for문으로 정의했을 때에는 정수 n을 받아 1부터 곱하는 형태로 정의하였다면 재귀함수는 def fact(n:int) -> int: if n == 0: return .. 이전 1 다음